논문 목록

이 논문에서는 높은 전력 효율과 charge balancing을 위해 chopped 펄스 파형을 이용하는 신경 자극기 집적 회로(IC)를 제시한다. 제안된 IC는 0.18-μm 표준 CMOS 공정을 사용하여 설계되었으며, 전기 자극 회로와 charge balancing 회로로 구성된다. Transistor stacking 및 Dynamic gate biasing 설계 기술이 고전압 스트레스로부터 전류 출력 드라이버와 charge balancing 회로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제안된 시스템은 상황에 따라 두 가지 자극 파형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유연성을 가지며 비교기와 D-Latch로 구성된 매우 간단한 디지털 논리 회로를 통해 안전한 charge balancing을 수행하여 전극의 잔류 전위 축적을 방지한다.
본 논문은 solid state drive (SSD)에 내장하기 위해 경량화 된 정규표현식 매칭 가속기 구조에 관한 연구이다. SSD에 내장된 연산 장치를 이용해 데이터를 처리하는 인-스토리지 프로세싱 (ISP) 기술은 대규모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기술이며, 정규표현식 매칭은 ISP 기술을 적용해 높은 매칭 성능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SSD 내부 임베디드 CPU를 사용한 정규표현식 매칭은 그 성능이 제한적이며, 기존에 제안된 finite state machine (FSM) 기반 정규표현식 매칭 가속기를 내장할 경우 FSM의 상태 전이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온-칩 메모리의 사용에 따른 하드웨어 비용증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간단한 구조의 FSM 기반 패턴 매칭 하드웨어 모듈을 다수 사용해 SSD 내부 데이터 전송 대역폭에 준하는 정규표현식 매칭 성능을 얻는 가속기의 구조를 제안한다. 또한 가속기의 온-칩 메모리 사용량을 줄이기 위한 매칭 모듈 간에 온-칩 메모리를 공유하기 기술을 제안한다. 시뮬레이터를 사용한 실험 결과 제안하는 가속기를 사용한 정규표현식 매칭은 기존 컴퓨터 시스템 대비 최대 194%의 매칭 성능 향상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제안하는 가속기가 필요로 하는 온-칩 메모리의 면적은 기존 가속기 대비 56.8% 작음을 확인하였다.
3D-HEVC는 2개 이상의 시점을 이용해서 중간시점들을 생성하며, 각 시점은 텍스쳐영상과 깊이영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논문은 깊이영상을 실시간으로 인트라 부호화하기 위해 필요한 고성능 2D DCT 회로의 구조를 제안한다. 깊이영상에 대한 인트라 부호화를 하려면 PU 블록마다 최대 8개 내지 13개의 후보 모드들에 대해 변환 연산을 수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RD 비용을 추정하여 최종적으로 최적의 모드를 결정한다. 따라서 3,840×2,160 UHD급 영상을 실시간으로 처리하려면 모든 PU 크기에 대해 3.23 GPPS 이상의 속도로 변환을 수행할 수 있는 회로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회로는 병렬 구조와 파이프라인 기법, 전치 메모리의 효율적 사용을 바탕으로 RD 리스트에 저장된 후보 PU 블록에 대한 레지듀얼 데이터를 사이클 당 32개 화소의 속도로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한다. 130nm 표준 셀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합성한 결과, 최대 동작주파수는 126.26MHz로서 4×4, 8×8, 16×16, 32×32 DCT 연산을 모두 4.04 GPPS의 속도로 처리함으로써 실시간 인트라 부호화에 필요한 성능인 3.23 GPPS를 만족한다.
여행 계획을 세우는데 있어 관광지 평점 정보는 직관적이고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해준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평점 정보는 많은 사람들의 평가가 없으면 높은 신뢰도를 보장하기가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소셜미디어의 글들을 이용하여 관광지의 평점을 예측하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해당 시스템은 주어진 관광지의 이름을 키워드로 소셜미디어에서 다수의 글들을 검색 및 수집하고 사전에 학습시켜둔 필터링 모델을 이용하여 리뷰 성격의 글들과 리뷰가 아닌 글들을 분류하고, 리뷰로 분류된 글들을 스코어링 모델을 이용하여 각각 평점을 매긴 후 전체 평점들을 평균 내어 최종적으로 주어진 관광지의 평점을 예측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의 성능향상을 위하여 딥러닝 기반의 필터링, 스코어링 모델 구조와 함께 한국어 데이터 증강 기법도 제안하였다.
현대의학에서 영상처리분야는 환자의 상태를 진료하는 데에 있어 빠질 수 없는 부분이 되었다. 최근 들어 특히 의료영상에서 환부를 관리하기 위해 영상분할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환부를 검출하거나 크기를 측정해냄으로써 의료진으로 하여금 객관적인 진료가 가능하도록 돕고 있다. 영상분할 알고리즘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는데 대표적으로 기준점을 중심으로 특정 임계값을 적용하여 범위를 넓혀나가는 방식 등이 있다. 그런데 각막궤양의 경우 다른 질병에 비해 획득되는 영상이 항상 일정한 형태의 패턴이나 색상을 가지는 것이 아니므로 고정 임계값을 가지는 알고리즘으로는 다양한 형태의 궤양 영상을 구분할 때 그 정확도를 보장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각막 궤양영상에 회색조 변환 및 중간값 필터링, 히스토그램 평활화, 감마보정 등의 신호처리를 통해 궤양영역을 구분하기 쉽게 해주고 사용자의 개입이 최소화 되도록 Otsu 알고리즘을 응용해 기준점을 자동으로 설정하여 다양한 궤양 형태의 영상에 적용 가능한 효과적인 각막 궤양 영역 검출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내용을 평가하기 위해 평균정확도와 다이스계수를 평가지표로 활용하였으며 기존의 영상분할 알고리즘들 중 뛰어난 성능을 보이는 모서리 없는 능동윤곽선 기법과의 비교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비교군 및 Flood-Fill, Otsu 알고리즘에 비해 최대 10% 이상의 더 높은 정확도를 보였으며 향후 다양한 파생연구를 통해 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은 번호판 인식기술과 딥러닝을 이용하여 주정차위반을 판단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소개한다. 이 방법은 차량이 통과하는 지역(ROI)에서 차량번호를 읽고 추적하는 중에, 차량이 주차금지구역에 일정 시간 이상 정지하면 주차위반으로 판단하고 역방향으로 재생된 동영상과 증거 이미지를 확보한다. 주정차위반을 단속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단속 순간을 촬영한 몇 장의 이미지에서 차량번호를 확인하는 것에 그친다. 추적기법과 역방향 재생이 활용되는 이 방법은 물체에 의한 번호판 가림에 상관없이 차량번호판을 인식할 수 있어서 기존의 방법보다 단속 효과가 높다. 또한, 번호판을 읽기에 가장 좋은 시점에서 촬영 이미지를 얻기 때문에 번호 인식률도 높다. 주정차위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하는 차량추적은 CNTK 및 Faster R-CNN을 사용하였다. 실험은 도로상 관심구역을 통과하는 521대의 차량을 대상으로 진행했으며 그중 30대가 주정차 위반차량이었다. 제안한 방법은 주차위반차량 30대 중 29대를 주정차위반으로 판정하여 주정차 위반차량 검지율은 96.7%를 보였다.
무선 센서노드는 배터리를 사용함으로서 제한된 리소스를 가지고 있으므로 저 전력 기술을 통한 배터리 수명 증가가 가장 큰 이슈가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무선 센서노드가 휴면상태에서 보다 적은 에너지를 소모하는 전력 관리 방안을 제안한다. 먼저 기존의 무선 센서노드에서 전력관리모드인 Sleep-Idle-Run에서 소모되는 전력량과 시간을 통해 소모될 에너지 값을 분석한다. 본 논문에서는 Five-states power mode를 제안하여 센서노드의 통신 스케줄에 따른 적정 에너지 소모량을 지정하여 노드의 전력을 감소한다. 결과로 노드의 통신 스케줄을 고려하여 각 노드의 전력모드 변환을 나타내고, 그에 따른 에너지 소모 값을 얻는다. 실제로 구동 가능한 Mica2 노드를 사용했을 때 소비될 에너지는 기존보다 약 70% 감소하였다. 특히, 제안한 방법은 통신의 빈도가 낮거나 짧은 패킷 데이터를 가진 무선 센서 네트워크 노드에서 보다 더 유용하게 전력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사람의 질병 혹은 신체장애는 생활하는 데 있어 단순한 불편함 뿐 아니라 사람들 사이에서 소외되게 하는 사회적인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 중 하나로 뇌전도(EEG, Electroencephalogram)를 이용해 사물을 조종하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이 떠오르고 있다. 뇌전도 측정에 있어 눈 깜박임 신호는 측정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측정 결과에서도 눈에 띄는 결과를 나타낸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뇌전도와 눈 깜박임의 특징을 이용하여 언어 소통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모스부호를 입력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뇌전도 측정은 마인드 웨이브를 이용하였고,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해 에디슨으로 전송하여 뇌전도를 분석한다. 분석된 뇌전도에서 눈 깜박임이 발견되는 경우를 클릭과 같이 인식하여 글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8명의 피검자로부터 뇌전도를 측정 및 분석하여 눈 깜박임 신호가 뇌전도에서 크게 나타남을 확인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모스부호를 입력해 원하는 단어를 입력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진폭샘플링방식에서 불연속점 발생 없이 신호 Recirculation이 가능한 DRFM 시스템 구조와 크기반전보정기법을 이용한 신호 Recirculation 기법을 제안한다. DRFM은 신호정보의 손실 없이 원신호에 가깝게 저장하는 기능과 저장된 신호를 반복해서 출력하는 Recirculation 기능이 중요하다. Recirculation 시, 신호의 불연속점이 생기지 않게 하는 것이 이 기능의 핵심이다. 위상 샘플링 방식의 경우 Recirculation 시, 신호의 불연속점이 발생하지 않지만 신호 정보의 손실이 발생한다. 반면 진폭 샘플링 방식의 경우 신호 정보의 손실을 적지만 Recirculation 시, 출력 신호에 불연속점이 발생한다. 이런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크기반전보정기법을 적용한 DRFM 모델을 Matlab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지구 온난화에 의한 이상강우, 도시개발 및 인구유입에 따른 저지대 개발로 인한 우수유출량의 증대로 도시침수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도시 에서 이상강우에 적극적으로 대비하기 위해서는 GWI (Green Water Infra) 효과 확인과 기존 설치된 우수저류조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국지 적 침수를 방지하는 우수배수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EPA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에서 제공하는 SWMM (Storm Water Management Model)의 동적파해석(Dynamic Wave Analysis)을 이용하여 이상강우에서 도시침수 방지방법으로 서 월류형 우수배수방법을 적용 및 분석하였다. 그 결과 태풍 콩레이로 발생한 강우에서 월류형 우수저류조 설치가 최대홍수유출을 61 %, 총 홍 수량을 56 % 감소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태풍 솔릭의 강우에서는 월류형 우수저류조 및 자연-압송식 배수방법이 최대 홍수유출 20 % 감 소 및 총 홍수량 67 %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이상강우에 대한 대책으로 기존 우수저류조의 개량 및 추가 시설물 설치를 통해 제 한된 조건에서 경제적인 우수배수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지하수의 흐름의 특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투수계수 정보에 대한 탁월한 추정 방법으로 파일럿 포인트 방법(Pilot Point Method: PPM)이 있다. 이는 투수계수 정보를 비교적 풍부한 측정자료(e.g. 지하수 수두 정보)를 활용하여 얻어내는 역함수 방법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지하수 수 두 정보에 추적자 정보를 활용하여 기 개발된 민감도 분석을 활용한 파일럿 포인트 방법(D-optimality based Pilot Point Method: DBM)과 동시 검색기반 파일럿 포인트 방법(Simultaneous Search based Pilot Point Method: SSBM)의 활용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지하수 수두 정보만을 활용하는 것에 비해 추적자 정보를 활용하는 것이 SSBM이나 DBM 모두 투수계수를 찾는 편차를 축소시켰다. 이는 동일한 조건하에 추적자 농도 정보가 투수계수를 찾는 범위를 한정할 수 있음을 보이는 한 예라고 할 수 있다. SSBM의 경우 민감도 분석이 없어 투수계수를 찾는 절차는 감소시켰지만 DBM에 비해 투수계수를 찾는 편차가 늘어나는 경향을 보였으며 초기 투수계수의 값에 의해 투수계수를 찾는데 영향을 받음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동시 검색기반 파이럿 포인트 방법으로 지하수 수두와 추적자 농도를 활용하는 것이 투수계수를 추정하는 데 적 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현재 자가용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현 시점에서 대중교통 활성화를 위한 대책으로 부산광역시에서는 BRT를 구축하였다. 그러나 BRT 정류장과 일반정류장은 통일성이 없으며, 버스 노선체계 운영상 BRT 노선을 벗어나는 횟수가 많아 좌·우회전하는 버스가 BRT 노선에서 일반 도로로 진입하여 차량의 흐름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BRT 진출입부의 병목 현상이 가속화되면서 특히 교통량이 많은 출퇴 근 시간대에 정체를 유발하여 승용차 운전자 그룹의 불만을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민의식 조사를 통해 BRT 구간의 운행 효과를 높 일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BRT 서비스 평가 항목 외에 현재 BRT에 대한 문제요인을 항목으로 추가하 여 BRT 시설 및 운영에 대해 IPA를 이용하여 중요도·만족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BRT에 대한 의식과 주 교통수단에 따라 그룹을 구분하여 그 룹 간 차이를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BRT에 대해 긍정적이면서 버스 이용자 그룹은 버스의 쾌적성, 무단횡단단속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며, 부 정적이면서 승용차 이용자 그룹은 BRT 버스의 차로변경, 승용차통행속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앞서 차이를 나타낸 그룹을 다 차원척도법 중 MDPREF법을 활용하여 면밀히 살펴본 결과 평가항목과 교통수단 별 이용자 그룹 응답자의 개인속성 간의 평가방향이 잘 나타 났으며, 평가문항에 대한 응답자들의 부합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많은 연구자들이 대규모 현장에 투입된 건설자원의 유형과 위치를 자동 파악하는 영상분석기술을 활발히 개발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방 법들은 인식하고자 하는 건설 물체(작업자, 중장비, 자재 등)를 학습용 이미지 데이터에 표시하는 Labeling 작업을 요구하고 이에 불필요한 시간 과 노력이 낭비된다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액티브 러닝을 활용한 영상기반 건설현장 물체 자동 인식 프레임 워크를 제안함을 목표로 한다. 개발 프레임워크 검증을 목적으로 건설분야 Benchmark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실제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액티브 러닝을 통해 학습한 모델은 다양한 특성을 지닌 건설물체를 성공적으로 인식할 수 있었고, 기존의 학습 DB 구축 방식과 비교할 때 더 적 은 데이터 수와 반복학습 횟수로도 높은 성능을 가지는 영상분석모델을 개발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기존에 요구되던 학습 DB 구축을 위한 Labeling 작업을 줄일 뿐만 아니라 총 시간과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소규모 공동주택 소유자를 대상으로 건축물유지관리업무를 구성하는 요소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는 논문이다. 이를 통해 효과 적인 관리방안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논문은 국토교통부가 제시한 건축물유지관리 가 이드라인을 기초로 하여 유지관리업무의 구성요소들을 추출하고, 그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차 수준의 분석 결 과, 응답자들은 전반적인 주택유지관리에 있어 ‘시설 관리’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다음으로 ‘입주 관리’, ‘보안 관리’, 그리고 ‘유지관리 행정’ 순으로 중요하다고 판단하고 있었다. 둘째, 2차 수준의 분석 결과, 유지관리 행정의 하위요인들에서는 예산 결산이 가장 중요하 다고 판단하였고, 시설 관리의 하위요인들에서는 청소가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하였으며, 보안 관리의 하위요인들에서는 차량에 대한 관리가 가 장 중요하다고 판단하였고, 마지막으로 입주 관리의 하위요인들에서는 관리업무 홍보가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소규모 공동주택의 관리를 위해 지자체별 관리 공단을 설립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결론에 이른다.
서양과 한국 사회 건축분야 전문가주의의 개념과 특징, 전문가주의 형성과정과 발전과정, 전문가주의 속성들 등 전문가주의에 관한 전반적인 이론을 통하여 전문가주의를 고찰하였다. 이 연구에서 도출된 전문가주의 구성요소들은 전문성과 체계성, 배타성과 자율성, 그리고 공공성 등이다. 구성요소들 중 전문성과 체계성은 기본적인 전문가주의를 형성하는 요소이며, 배타성은 전문가 협회의 구성과 공인된 면허, 자율성은 전문가의 자율결정 및 자율통제, 그리고 공공성은 전문가주의 태도적 요건인 윤리와 이데올로기 측면과 연관된다.
본 연구는 아파트의 노후화와 리모델링을 먼저 경험한 프랑스의 계획사례와 주택정책을 분석하고 국내와 비교하여 국내 특성에 부합하는 발전적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아파트 공급과정, 정책 및 관리제도를 비교하고 둘째, 리모델링 사례분석을 통한 아파트 계획, 노후화 문제, 리모델링 계획 특성의 비교를 통해 대안을 논의하였다. 사례연구는 국내는 2014년 기준 완공된 12개 단지를 문헌조사하였으며 프랑스는 파리시와 수도권의 대표적인 12개 단지 선정후 현장답사 및 도면수집, 공무원과 건축가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아웃리거 구조의 최적위치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위해 Midas-Gen을 이용하여 70층 건물을 대상으로 계획설계 수준의 구조해석을 하였다. 이 연구에서의 주요 변수는 아웃리거 강성, 프레임 강성, 전단벽 강성, 아웃리거에 연결된 외곽 기둥 강성 등이다. 본 연구에서는 아웃리거의 최적위치를 찾기 위하여 최상층 수평변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아웃리거 구조의 최적위치를 예측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것은 초고층 아웃리거에 대한 최적위치를 구하는 경우에 중요한 공학자료가 될것으로 생각한다.
2017년 포항 지진 발생으로 인한 조적조 피해가 대두되면서 조적조 건물의 내진성능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지진에 의한 조적조 파괴는 면내방향과 면외방향으로 나눌 수 있으며 면내 방향 파괴는 조적조의 내진성능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본 연구는 줄눈 내 여러 가지 보강재료를 삽입하여 면내 방향의 사인장 전단강도시험을 수행하였다. ASTM E 519-02를 참조하여 전단응력과 전단 탄성계수를 계산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가장 좋은 보강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승률을 예측할 수 있는 James (1980)의 피타고라스 정리는 야구에서 시작하였지만, 농구, 하키, 미식축구, 축구 등과 같은 다른 스포츠로 확장하여 적용될 수 있다. 하지만 한국 프로스포츠에서 야구에 관한 연구들은 많이 있지만 다른 스포츠에 관한 결과들은 거의 없다. 본 연구는 한국남자농구 (KBL)에서의 피타고라스 최적지수 값을 구하고 평균제곱오차의 제곱근 (RMSE)와 평균절대편차 (MAD)를 이용하여 타당성을 논의한다. 사용된 데이터는 2010-2011시즌부터 2018-2019시즌 사이의 모든 한국프로농구팀의 기록이며, 그 결과 비록 NBA에서는 연도별 최적지수 값이 13에서 17 사이이지만 KBL에서는 10에서 13 사이로 나타났으며, 결론적으로 중위권 팀들은 피타고라스 지수의 값을 7 근방의 값, 그 밖의 팀들은 12 근방의 값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나타났다.
블록체인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주요 신기술 중 하나이다. 블록체인 기술은 비트코인과 함께 많이 알려졌지만,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분야가 많다. 보건복지 분야에서도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정책 효과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측면에서 다각도로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공공분야에 활용 가능성이 높은 블록체인 기술과 보건복지 단어를 소셜 빅데이터로 분석하는 것은 활용 동향을 파악하는데에 의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건 · 복지 분야에서 블록체인 기술이 어떻게 이슈화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블록체인 단어와 보건·복지 단어 관련 한글 문서를 수집하고 수집한 자료를 활용하여 단어-문서 행렬을 만들었다. 그리고, TF (Term frequency)와 TF-IDF (Term frequency - inverse document frequency) 값을 구하여 각각 상위 100개의 단어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단어로 대응분석 및 CONCOR (Converage of iterated correlation) 분석을 통해 현재 블록체인 기술의 보건 · 복지 분야 활용 동향을 파악하고 TF와 TF-IDF의 분석 결과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 경제변화에 민감한 대한민국 상장기업들의 특성을 반영하여 시장변수와 회계변수 이외에, 거시경제변수를 고려한 확장된 기업부도예측모형을 구축한다. 관찰기간은 2001년 1월 1일부터 2016년 5월 31일까지이며, 기업이 중도에 합병 또는 부도가 아닌 이유로 관찰이 중단된 경우에는 그 시점까지 관찰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집된 데이터가 결측치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결측치를 제외한 완전 데이터 분석 방법과 결측치를 보간한 불완전데이터 분석 방법을 고려하였다. 불완전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서 다중대체법으로 결측치를 처리한 후, 라쏘 (LASSO) 방법을 이용해서 변수를 선택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의의는 거시경제변수를 고려하고, 불완전 데이터 방법을 기업부도예측모형 구축에 적용하는 것이다. 추정된 모형의 부도적중률은 96% 정도이며, 기업부도예측모형을 위해서 회계변수, 시장변수, 거시경제변수가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상이한 해상도의 훈련용 워게임 모델인 창조21모델과 전투21모델을 연동 시 동일한 상황에서 발생되는 훈련부대의 포병 피해평가 결과를 유사하게 일치시켜, 워게임 모델을 활용한 훈련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시하는 연구이다. 만약 동일한 상황에서 발생한 창조21모델의 포병 피해평가 결과와 전투21모델의 포병 피해평가 결과가 합리적인 수준에서 유사하지 않으면, 훈련 부대가 워게임 모델을 활용한 훈련을 불신할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두 모델의 포병 피해평가 결과 차이를 보정하기 위해서 두 모델의 포병 피해평가 논리와 수식을 비교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서 동일한 조건 하에서 발생될 수 있는 실험환경을 구축하고 실험데이터를 생성하였다. 두 모델의 포병 피해결과를 일치시키기 위해서 보정 모형으로 다중회귀모형이 사용되었다. 각각의 보정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설명력이 높아서 두 모델의 포병 피해평가 결과를 유사하게 보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상이한 해상도를 가진 C-C 모델간의 연동 시에 데이터 해상도 일치와 관련해서 특히 포병 피해평가 결과를 일치시키는 방안을 최초로 다룬 연구로 임의의 C-C연동 시에도 활용될 수 있다.
지난 5년간 (2011~2015) 접근불능지역의 산지에서 탐지된 MODIS 산불정보를 활용하여 발화지점을 추정하고, 산불발생에 따른 임상 및 지형위험지수를 개발하였다. 3,637개의 산불탐지정보 중에서 산불확산으로 추정되는 지점을 제거하였고, 1,469개 산불발화지점을 추출하였다. 산불발화지점을 대상으로 임상과 지형 특성을 분석한 결과, 낙엽활엽수림에서 59.4%, 상록침엽수림 21.7%, 혼효림이 18.9%로 나타났다. 고도는 550m 이하에서 56.3%, 사면방위에 따른 산불빈도는 남동사면이 18.9%로 가장 높았다. 임상과 지형 특성에 따른 산불발생빈도의 가중치로 위험지수를 산정한 결과, 낙엽활엽수림이 FMI 10, 상록활엽수림 FMI 4, 혼효림은 FMI 3으로 나타났다. TMI는 고도 550m 이하에서 고도지수 5.0, 남동사면 방위지수가 5.0인 경우를 최댓값 TMI 10으로 산정하였다. 반면 1,537m 이상에서 고도지수는 0.5, 북동·동·남사면의 고도지수는 1.0으로 FMI가 1.5로 가장 낮게 산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접근불능지역의 산불위험예보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며, 산불위험지역에 대한 집중 감시와 방지 체계 확립을 위한 의사결정 판단에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1904년 세인트루이스 올림픽 이후 정식종목에서 제외되었던 골프가 112년 만에 2016년 리우 올림픽에서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었다. 또한, 국외에 진출한 한국 선수들의 성적도 상위권에 랭크됨으로써 국외 골프 자료 분석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1년부터 2017년까지 7년간 국외프로골퍼들의 개인별 자료를 이용하여 경기기술과 경기성적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현재 프로골프협회와 여자프로골프협회에서 제공하는 경기기술 자료들이 경기성적과 유의미한 관계가 존재하는 지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경기기술들이 경기성적에 주는 집단 간 영향력에 대해 통계적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다중집단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번 연구는 영덕군 일원의 상세 지표조사를 통해 양산단층의 가지단층인 영덕단층의 내부 구조와 기하를 파악하고, 주변 퇴적층의 자세, 단층의 운동학적 자료와 단층암의 자기미세구조 분석을 통해 영덕단층의 운동학적 특성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음영기복도에서 총 40 km의 연장을 보이는 영덕단층은 트라이아스기 영덕화강암, 백악기 퇴적암과 화산암을 절단하며 약 8.1 km의 우수향 수평변위를 보인다. 주로 북북서 내지 남-북 방향으로 발달하는 영덕단층은 영덕읍 화천리 이북에서 하나의 단층선으로 달리지만, 화천리 이남에서는 두 조의 단층대로 분기되는 특징을 보인다. 이들 두 조의 단층 중 서편의 것은 북북동 내지 북동 방향과 북북서 방향의 단층분절들이 지그재그 형태로 연결되는 반면, 동편의 것은 북북서 방향의 하나의 단층으로 연장되다가 영덕군 강구면에서 양산단층과 합쳐진다. 영덕단층은 대부분 지점에서 65° 이상의 고경사로 동쪽으로 경사하며, 2~15 m 폭의 단층핵과 최대 180 m 폭의 단층손상대를 가진다. 단층핵은 퇴적암류, 화산암류, 화강암 등 여러 모암으로부터 유래된 단층암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모암에 따라 뚜렷한 변형의 차이를 보인다. 화강암에서 유래된 단층핵은 주로 단층각력으로 구성되며, 10 cm 이내 폭의 단층비지대에 전단변형이 집중된다. 반면, 퇴적암에서 유래된 단층핵은 화강암의 것에 비해 두꺼우며 단층비지대와 각력대가 교호하거나 렌즈상의 모암을 단층비지대가 에워싸며 발달한다. 단층대와 인접한 퇴적층의 자세는 주 단층면과 가까워지면 단층면의 자세와 유사하게 고각으로 경동된다. 단층활면 및 전단단열에서 관찰된 운동 자료와 단층암의 대자율이방성 분석결과는 영덕단층이 북서-남동 방향 최대수평응력 하에서 좌수향 주향이동운동을 겪은 이후 북동-남서 방향 최대수평응력 하에서 우수향 주향이동운동을 겪었으며, 우수향 주향이동운동에 의한 변형 특성이 우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얻어진 영덕단층의 운동사를 기존 양산단층의 운동사와 비교해본 결과, 두 단층의 주향이 다소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백악기 말의 북서-남동 방향 최대수평응력과 고제3기의 북동-남서 방향 최대수평응력 하에서 각각 좌수향과 우수향 주향이동의 동일한 감각으로 운동한 것으로 판단된다.
지질공원은 지질학적으로 중요하고 경관이 우수한 지역을 보호하고, 이들을 교육 및 관광산업에 활용하여 지역 경제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는 새로운 제도이다. 국가지질공원 후보지인 화성 지질공원은 고정리공룡알 화석산지를 중심으로 우음도, 어섬, 딱섬, 고렴, 제부도, 백미리해안, 궁평항, 입파도, 국화도 등 10곳의 지질명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국가지질공원으로의 인증을 추진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화성 국가지질공원에 분포하는 지질명소, 지질유산 그리고 지오트레일에 대해 상세히 기재하고, 지질공원으로서의 가치와 의미에 대해 논의하였다. 화성 국가지질공원 후보지는 한반도의 지체구조상 경기육괴에 해당되며, 선캄브리아시대 변성암류 및 퇴적암류, 고생대 변성암류, 중생대 화성암류 및 퇴적암류 그리고 신생대 제4기 퇴적층이 분포하여 풍부한 지질다양성을 가진다.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고정리 공룡알 화석지 지질명소는 공룡알 둥지 화석을 비롯하여 서관구조, 타포니, 단층과 끌림습곡, 사층리 등의 풍부한 지질유산과 함께 생태 탐방로, 방문자 센터 등 훌륭한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우음도 지질명소는 다양한 종류의 변성암(편마암, 편암, 천매암)과 지질구조(습곡, 단층, 절리, 암맥, 광맥)를 가지고 있어 교육적 가치가 높다. 어섬 지질명소는 변성암에서 산출되는 독특한 구상구조가 높은 학술적 가치를 가지며, 딱섬과 고렴 지질명소에는 백악기 탄도분지에 분포하는 다양한 퇴적암과 화산암류 그리고 퇴적구조를 잘 관찰할 수 있다. 서해안에 위치한 제부도, 백미리 해안, 궁평항 지질명소에서는 갯벌, 시스택(해식기둥), 사빈과 역빈, 해안사구 등의 해안지형과 함께 다양한 변성암류, 쇄설성암맥, 석영광맥 등의 지질구조도 함께 관찰할 수 있으며, 갯벌체험을 비롯한 다양한 체험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 있다. 도서지역인 입파도, 국화도 지질명소에서는 전형적인 대규모 습곡구조가 장관을 이루고 있는 곳이며, 독특한 해안침식지형과 함께 다양한 고생대 편암류를 관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성 지질공원은 풍부한 지질다양성과 학술적 가치를 지닌 양질의 지질명소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질, 지형, 경관, 생태요소가 복합적으로 어우러진 지오트레일, 탐방객을 위한 기반인프라, 다양한 교육·체험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 있어, 서부 경기권을 대표하는 훌륭한 국가지질공원으로서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강원도 평창군 뱃재터널의 북쪽 입구 사면에서 대규모 횡와습곡이 확인되어 이를 기재하고 형성기작에 관해 해석하였다. 이 습곡은 고생대 조선누층군 정선석회암층 내에 수백 m 규모로 발달하고 있다. 습곡의 머리는 북쪽을 향하며, 층리와 축면엽리의 복합엽리면상에 발달하는 신장선구조(L1)는 남쪽으로 약 10° 침강하고 있다. 습곡 날개부에는 S-형 비대칭 습곡과 함께 A-형 또는 안상 칼집습곡들이 흔히 관찰되며 이들 습곡의 축은 습곡의 중앙부와 후면부에서 확인된 신장선구조(L1) 방향과 거의 평행하다. 따라서 이곳 대규모 횡와습곡은 상부가 북쪽으로 향하는 강한 연성전단작용에 의해 생성된 칼집습곡으로 고생대말-트라이아스기 송림조산운동의 결과로 해석된다.
전술 환경에서 자주 발생하는 통신 대역폭 제한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메시징 미들웨어 구조와 함께 새로운 메시지 포멧 및 메시지 유통 기법 등 통합적 관점에서의 문제 해결 방안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출판-구독 기반의 전술 네트워킹 미들웨어에서 전술 통신 환경이 가지는 제한적 특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출판-구독의 구현 아키텍처로서 P2P와 브로커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메시징 시스템 구조를 제안하고, 또한 유통되는 정보를 통제-조절하기 위한 방안으로 XML Element 기반 새로운 필터링 기법을 제안한다. 본 제안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오픈소스 시스템들을 기반으로 하이브리드 메시징 시스템의 프로토타이핑과 성능실험을 진행하였으며, 테스트 데이터에 대해 기존 XML 대비 평균적으로 34% 정도 감소된 메시지 사이즈와 EXI 대비 평균적으로 7.1배 정도 빨라진 인코딩 프로세싱 시간 및 최대 21.7배의 빨라진 메시지 필터링 속도를 확인하였다.
본 논문은 사전에 개발된 수중 레이저 스캐너와 무인 잠수정을 이용하여 해양 검증 시험에 앞서, 실내 공학 수조에 대한 정밀 3차원 복원 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지상 센서 장비 분야와 달리 해양 장비 분야에서는 수중 환경을 정밀하고 빠르게 복원할 수 있는 장비가 매우 적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카메라와 레이저를 이용하여 정밀 계측할 수 있는 수중 레이저 스캐닝 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를 무인 잠수정에 장착하여 해양 환경에 대한 정밀 3차원 지도 작성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목적의 초기 결과로서 본 논문은 무인 잠수정에 탑재된 레이저 스캐너의 계측 정확도 향상을 위한 카메라-레이저 보정 수행 결과를 분석하고, 무인 잠수정을 이용하여 KRISO 공학 수조 바닥면에 대한 3차원 정밀 복원을 수행하였다.
지진에 의한 고층건축물의 피해는 고층건축물의 적은 분포와 고층건축물에 전달되는 지진동의 낮은 전달율에 의해 빈도가 낮다. 하지만 고층건축물의 수요는 건설기술 발전과 효율적인 토지활용을 위해 증가하고 있으며, 매립지와 같은 연약지반에 고층건축물을 건설하게 될 경우, 지진파의 장주기화에 의한 지진동의 전달율이 증가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이, 건축물은 기술의 발전과 함께 장주기 지진파와 같은 내진설계 범위의 확대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진파 주기특성에 따른 고층건축물의 응답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동적실험을 수행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한 시간이력해석을 수행하였다.